|
박테리아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문제의 세균은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장내세균(CRE)이다. CRE 감염증은 중증 감염이나 다제내성균 감염증 치료에 주로 쓰이는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에 의한 감염질환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CRE 감염증 환자 신고한 건수는 2017년 5717건에서 매년 증가해 2023년 3만8405건으로 늘었다. 5년 새 5.3배 는 것이다. 지난해 1~6월에는 2만5533건이 신고됐다.
사망자는 5년 새 37명에서 633명으로 17.1배가 됐다. 지난해 상반기(1~6월)에는 439명이 숨졌다.
카바페넴 계열의 항생제는 지금 쓸 수 있는 마지막 항생제로 통한다. 이 약을 썼는데도 듣지 않으면 쓸 약이 없다는 뜻이다.
|
어떠한 항생제도 듣지 않는 ‘슈퍼 세균’이 급증해 사망하는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
요로감염은 여성의 약 50%, 남성의 약 10%가 평생 한 번 경험하는 감염질환이다. 여성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요로감염에 더욱 취약해 환자의 약 25%가 재발을 경험하며, 연간 3회 이상 재발하는 재발성 요로감염도 흔하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500만명 이상이 요로감염으로 진료를 받고 있으며, 치료시 항생제가 필수적이다.
전남의대 비뇨의학과 유성현 교수는 항생제 다제내성균에 의한 요로감염 대응체계 구축이란 제하의 발제를 통해 내성감시시스템 보완과 균주보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 교수는 “요로감염병 환자들에 대한 항생제 처방은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 주로 발생하는데, 이때 최신 내성 데이터를 반영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처방되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일례로 요로감염 초기 치료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프로플록사신의 경우, 대한요로감염학회 조사에 따르면 37.5%의 내성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문제의 세균은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장내세균(CRE)이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제공 |
비 항생제 치료요법으로 세포 독성 T세포를 활용해 세포 내에 숨은 병원균 제거하는 백신요법과 면역 증강제를 활용한 백신 개발을 언급했다. 또한 방광 내 공생균 조절을 통해 병원균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요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